본문 바로가기

퍼실리테이션&디자인씽킹40

시스템 사고에서 "시스템 원형(System Archetypes)" 시스템 사고(Systems Thinking)에서 "시스템 원형(System Archetypes)"은 복잡한 시스템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일반적인 구조적 패턴을 의미합니다. 이 원형들을 이해하면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빠르게 진단하고 잘못된 해결책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피터 센게(Peter Senge)의 저서 《제5경영(The Fifth Discipline)》 등을 통해 널리 알려진 주요 시스템 원형 10가지를 정리했습니다.주요 시스템 원형 10가지 정리원형원형 구조 및 설명해결 방안 (지렛대)예시성장의 한계 (Limits to Growth / Success)성장 동력(강화 루프)이 작동하여 시스템이 급속히 성장하지만,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성장을 제약하는 요인(조절 루프)이 작동하여 성장이 둔화되.. 2025. 10. 15.
시스템사고의 분석 도구(Analytical Tools in Systems Thinking) 1. 개요시스템사고의 핵심은 “복잡한 현상 속에서 구조와 피드백을 시각화하고 이해하는 것”입니다.이를 위해 다양한 분석 도구가 개발되었으며, 이들은 문제 구조의 인식 → 관계 탐색 → 시뮬레이션 → 전략적 개입 설계의 흐름으로 활용됩니다.도구의 목적: 현상의 “근본 원인(structure)”을 파악하고, “지렛대(leverage point)”를 찾아 지속가능한 변화를 설계하는 것. 2. 시스템사고 분석 도구의 분류단계분석 목적대표 도구① 문제 구조 인식현상의 반복 패턴 및 핵심 변수 식별행동 패턴 그래프 (Behavior Over Time Graph)② 관계 탐색변수 간 인과관계 및 피드백 구조 파악인과루프 다이어그램 (Causal Loop Diagram, CLD)③ 구조 모델링정량적 흐름과 축적 구조 .. 2025. 10. 14.
시스템사고(Systems Thinking)의 교육학적 적용 시스템사고(Systems Thinking)의 교육학적 적용 1. 개요"시스템사고(Systems Thinking)"는 교육현상과 학습과정을 복잡한 상호작용 시스템으로 인식하는 사고 틀이다.교육을 “교사 → 학습자 → 성취”의 단선적 과정으로 보지 않고, 교수자, 학습자, 환경, 제도, 문화가 **순환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학습 생태계(learning ecosystem)**로 이해한다.교육은 ‘닫힌 수업’이 아니라 ‘열린 시스템’이다.— 교육을 하나의 "적응적 복합계(Complex Adaptive System)"로 보는 관점이 시스템사고의 핵심이다.2. 철학적 기초 - 철학적 배경교육적 함의일반시스템이론 (von Bertalanffy)교육을 하나의 ‘열린 시스템’으로 간주. 학교·학급은 외부환경과 상호작용하는 .. 2025. 10. 13.
시스템사고 정리 시스템사고(Systems Thinking) 1. 개념적 정의**시스템사고(Systems Thinking)**는복잡한 현상을 구성하는 요소 간의 상호의존적 관계(interdependencies), 피드백 구조(feedback structures), 지연(delay), 비선형성(non-linearity) 등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는 인식론적 틀(epistemological framework)이다.즉, 시스템사고는 “부분의 합으로 전체를 설명할 수 없다”는 전제에서 출발하며, **전체성(holism)**과 **순환적 인과성(circular causality)**을 강조한다.2. 철학적·이론적 배경사상적 계보핵심 내용일반시스템이론 (General Systems Theory, von Bertalanffy, .. 2025. 10. 13.
[회복적서클]5분 긴급갈등개입 https://www.youtube.com/watch?v=qb_0denk0oo 일반적으로 다둠이나 갈등 상황의 목격했을 때개임중재자 "거기서 뭐하니"나 지켜보고 있다감시자"무슨 일이야"A - "ㅇㅇㅇㅇ 입니다."B - "그게 아니라, ㅇㅇ해서 ㅇㅇ 입니다."지적 호기심중재자"ㅇㅇ이면서 ㅇㅇ했다고, 너도 그렇지 ㅇㅇ하면 되냐"공정한 해결사심판자"싸울거야? 앞으로 그러지 마라"A,B : 네 안 싸울게요.전리품승리자는 교사 RC에 따른 5분 긴급갈등 개입진행개입질문목적다툼이나 갈등 상황 목격"힘든 상황이 벌어졌구나""잠깐만, 다칠까봐 걱정이 돼"나의 염려와 돌봄의 에너지 전달하기개입"너희들에게 곤란한 상황이 생긴 거 같아 걱정되어 왔어""내가 대화로 잠깐 소통시켜주고 금방 갈게""한 사람이 말하면 상대방은 .. 2025. 9. 29.
[회복적서클]열린 질문 일상의 갈등과 혼란의 상황, 혹은 도전적인 상황은 '해결책'이나 '대답찾기'에 집중하게 한다. 대답 찾기가 이러한 갈등과 폭력적 상황의 출구로 이해되었다. 빨리 벗어나야할 장애와 궁지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책임있는 부모, 교사, 동료라면 상대방의 그러한 상황에 대해 조언과 대답을 해 주는 것이 도리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우리는 혼란과 갈등, 비난과 다툼을 '문제(a problem')로 보고 있었고, 그에 상응하여 당연히 '대답(an answer)'이 필요하다는 전제가 항상 깔려 있었던 것이다. 그러가 자극상황을 '문제'로 보는 도식의 덫에 걸려서 혼란이나 논쟁에 직면하면 '옳은 대답'에 자신의 의식과 에너지가 맞추어지게 된다. 나의 선한 의도와는 다르게 대부분 분리와 상처, 이슈에 대한 논쟁과 거리두기.. 2025. 9. 29.
[회복적서클]진행 과정 회복적 서클(Restoractive Circles)은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폭력과 갈등 및 상처를 다루는 공동체의 치유와 회복을 위한 자기 돌봄 과정이다.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문제 행동에 의해 영향을 받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일련의 세 가지 모임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모두가 함께 참여하여 서로를 돌보며 승승(Win-Win)의 갈등전환을 통해 당사자들의 책임이행과 공동체를 다시 복구한다.회복적서클 Process과정사전 서클(사전 모임)서클(본 모임)사후 서클(사후 모임)참여개별적 만남이나 작은 그룹모두가 함께 참여서클 합의 후 일정 기간 지난 후 핵심 당사자 및 희망자와 함께내용갈등을 상징하는 하나의 행동(ACT) 확인하기갈등의 의미를 이해하기대화모임 진행과정을 알리고 참여 의사 확인하기모임에 올.. 2025. 9. 22.
[회복적 서클(RC)]에서의 갈등 상황 사람들의 대처 방식 비폭력평화물결에서 활동하고 있는 "회복적 서클(Restoractive Circle)" 모형은 회복적 정의(Restoractive Justice)의 한 실천적인 모델로써 손상에 대해 당사자들이 진정한 책임감으로 관계를 회복시키는 모형이다. 영향을 받은 당사자들이 함께 모여 상호이해와 관계회복, 나아가 공동체의 회복과 성장까지 추구할 수 있도록 기여한다.갈등전환과 화해조정을 위해 갈등 상황, 일명 감정의 블랙홀(지성이 작동하는 일상적인 우주가 아닌 갈등 상황으로 인해 접해지는 감정의 우주 가운데, 그 감정의 밀도가 블랙홀에 비유)에서 사람들의 대처 방식은 다음과 같다.3Fs : 갈등에 상황에 3가지 방식으로 행동을 하게 된다.Fight : 주장 및 공격하기 - 상대와 맞서 자신의 논리를 주장하고 공격적인 자.. 2025. 9. 22.
claude를 활용한 퍼실리테이션 사업화 전략 초안 도출 https://claude.ai/public/artifacts/15ea9ca9-79ea-4dc5-8542-9ba60d32589e🎯 퍼실리테이션 사업 전환 전략 로드맵경산/대구 지역 마을카페 기반 사업화 모델📊 현재 자원 분석 & 강점✅ 물리적 공간: 30명 수용 가능한 카페 공간✅ 경험 보유: 워크숍, 진로강의, 그림책 수업, 독서모임 진행✅ 지역 네트워크: 마을카페 운영으로 지역주민과의 연결고리✅ 타겟 명확: 지역주민 + 교육기관🚀 3단계 사업 전환 전략1단계: 기반 구축 (1-3개월)📚 역량 강화퍼실리테이션 자격증 취득한국퍼실리테이션협회 자격증 과정 수강온라인/오프라인 병행 (대구 지역 과정 확인)게이미피케이션 스킬 습득보드게임 퍼실리테이션 기법 학습디지털 도구 활용법 익히기 (Kahoot, .. 2025. 8. 15.
IB 교육과정과 퍼실리테이션 결합 프로세스 IB 교육과정과 퍼실리테이션 결합 프로세스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통합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합니다. IB 교육과정의 핵심 가치와 퍼실리테이션의 원리를 결합하여 학습 환경을 개선하고 학생들의 참여를 촉진하며, 궁극적으로 학습 목표 달성을 지원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이 문서는 교사, 교육 리더, 그리고 IB 교육과정에 관심 있는 모든 교육 전문가에게 유용한 지침을 제공합니다.1. IB 교육과정의 이해IB 교육과정은 국제적인 시각을 가진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핵심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탐구 학습: 학생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중시합니다.개념 기반 학습: 사실 암기보다는 핵심 .. 2025. 7. 30.
[독서토론 퍼실리테이션]지금당장 기후토론 기후위기 시대를 함께 숙고해 보는 고등학생 독서토론 퍼실리테이션선정도서는 김추령님의 "지금 당장 기후 토론"이며, 선정도서를 활용하여 기후 위기 시대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공유하고, 깊은 이해와 대처하는 지혜에 대해 토론을 진행하였습니다. 1. 토론 개요시간 : 15:30~17:30 (휴식없이 총 2시간)장소 : 도서실참여 : 학생 31명, (6,7명 x 5모둠)진행 : 선정도서의 기후위기 주제 6개 중 관심 주제에 따라 5팀으로 주제토론2. 프로세스ORID 프로세스를 접목하고, 마지막 단계에서는 보고서를 작성 후 상호평가를 통해 서로 배울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도서 및 자신의 경험에서 알게되는 객관적 사실, 정보 파악 > 공감되는 부분 공유 > 기후위기와 관련된 의미분석 > 갤러리투어로 1차 .. 2025. 6. 2.
첫 만남에 할 수 있는 놀이 - 슈타이너사상연구소 퍼옴 1. 자기 소개 비행기 (준비물 : A4, 매직펜)① 4칸으로 종이 접기 : 이름 / 좋아하는 것 / 듣고 싶은 말 / 퀴즈(보기 2개)② 비행기를 접어서 3번 날리고 줍기③ 주인 찾아주기 : “○○○를 좋아하는 △△△님 맞나요?”④ 퀴즈 내고 맞추면 별표 해주기⑤ 각자 소개와 기대 나누기 2. 생일에 따라 앉기① 진행자를 중심으로 왼쪽부터 차례대로 앉기② 말하지 않고 손동작으로 표현하고 3분 안에 앉기 3. 매듭 풀기① 오른손은 바닥을 아래로, 왼손은 바닥을 위로(오른팔이 왼팔 위로)② 옆사람과 잡은 다음 풀기 ③ (한 명씩 돌며 안으로 들어가면 된다) 4. 큰 바람이 불어와① 둥그렇게 앉고 가운데에 술래가 선다. (바람의 신. 진행자가 의자 하나를 뺀다.)② 술래가 “준비됐다”고 하면 진행.. 2025.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