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밑줄긋기

이임숙님의 "엄마의 말 공부"

by iucenter 2025. 11. 24.

 

🌟 핵심 주제: '엄마의 말'을 통한 아이의 변화와 성장

이 책은 엄마의 말이 단순한 훈육 기술이 아니라, 아이의 기질 이해, 긍정적 시각 형성, 그리고 부정적 양육 신념의 변화를 통해 아이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강력한 힘을 가진다고 강조합니다.

🔑 가장 중요한 핵심: '엄마의 전문용어' 5가지

아이의 마음속 깊은 곳에 숨어 있는 **'긍정적 의도'**를 찾아내고 말로 표현해 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 긍정적 의도를 읽어주는 5가지 대화법(엄마의 전문용어)을 제시합니다.

전문 용어 핵심 역할 및 효과 예시
1. 공감의 말 감정 폭발을 가라앉히는 1차 진정
: 힘들었겠다.
"무슨 일인진 몰라도 많이 힘들었구나. 이리 와."
2. 치유의 말 결과보다 배경을 묻고 아이를 믿어 주기
: 이유가 있을 거야.
"왜 그랬는지 네 마음부터 알려 줄래?"
3. 깨달음의 말 문제 행동 속에 숨은 긍정적 의도 짚어 주기
: 좋은 뜻이 있었구나.
"망쳐서 속상했지만, 다시 고치려는 마음이 참 좋았어."
4. 강점의 말 자존감을 키우는 구체적인 칭찬
: 훌륭하구나
"동생에게 1개 나눠 준 거, 네 배려가 돋보였어."
5. 사고(질문)의 말 스스로 해내게 하는 주도성 질문
: 어떻게 하면 좋을까?
"지금 상황, 어떻게 하면 좋을까? 엄마는 무엇을 도와줄까?"
 

 이임숙 저자의 《엄마의 말공부》에서 제시하는 가장 핵심적인 내용인 "엄마의 전문용어 5가지"에 대해 구체적인 예시와 설명을 더 자세히 정리한다면, 이 전문 용어들은 아이의 기분이 나쁘거나 문제 행동을 보일 때, 엄마가 취해야 하는 대화의 순서이자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도구입니다.


🔑 엄마의 전문용어 5가지 심화 정리

순서 전문 용어 핵심 역할 구체적인 설명
1 공감의 말 감정 해소 & 안전지대 형성 '판단 없이' 아이의 현재 감정을 그대로 읽어주고 인정해 줍니다. 아이가 감정을 표출할 수 있는 안전한 울타리를 만들어 흥분을 가라앉히는 1단계입니다.

🚫 (흔한 실수): "그 정도 가지고 뭘 그래." "울지 마."
✅ (전문 용어 예시): "많이 속상하고 화가 났구나.", "네 마음처럼 안 되어서 힘들지?"
2 치유의 말 신뢰 회복 & 배경 묻기 감정이 어느 정도 진정된 후, 아이를 믿어주는 말을 건넵니다. 문제 행동의 '결과'가 아닌, 그 행동을 하게 된 "배경"이나 "이유"를 궁금해하며 묻는 단계입니다.

🚫 (흔한 실수): "너 또 이랬지? 당장 치워!" (비난)
✅ (전문 용어 예시): "네가 이렇게 한 데는 네 마음대로 안 되는 이유가 있었을 거야.", "엄마는 네가 이랬을 때의 마음이 궁금해."
3 깨달음의 말 긍정적 의도 발견 아이의 행동이나 실수 속에 숨어있는 '긍정적인 의도' (예: 적극성, 독립심, 도전 정신 등)를 찾아내서 짚어주는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아이는 자신의 좋은 의도를 인정받았을 때 변화의 동기를 얻습니다.

🚫 (흔한 실수): "정말 엉망진창이네. 다음부턴 하지 마."
✅ (전문 용어 예시): "(물건을 망가뜨렸어도) 혼자 해보려는 마음이 컸구나.", "(동생을 때렸어도) 네 것을 지키려고 노력하는 모습은 이해해."
4 강점의 말 자존감 향상 & 구체적 칭찬 '잘했어'처럼 막연한 칭찬 대신, 아이의 구체적인 행동과 결과를 연결하여 칭찬합니다. 아이가 자신의 강점을 스스로 인식하게 하여 긍정적 자기 이미지를 형성합니다.

🚫 (흔한 실수): "착하다." "똑똑하네."
✅ (전문 용어 예시): "네가 시간표를 보면서 순서대로 숙제를 하는 계획성이 정말 보기 좋아.", "친구의 말을 끝까지 들어준 배려심이 참 고맙다."
5 사고(질문)의 말 주도성 및 문제 해결력 부여 아이에게 스스로 문제 해결책을 찾도록 질문을 던집니다. 엄마가 답을 주기보다, 아이가 주도적으로 생각하고 책임감을 갖도록 이끌어주는 단계입니다.

🚫 (흔한 실수): "엄마 말대로 이렇게 해." "다음부터는 무조건 조심해!"
✅ (전문 용어 예시): "이 문제, 어떻게 해결하면 가장 좋을까?", "네가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 적용 예시 시나리오: 숙제 안 하고 떼쓰는 아이

아이가 숙제를 안 하고 TV만 보다가 엄마가 끄자 짜증을 내며 울음을 터뜨리는 상황.

  1. 공감의 말: "TV를 꺼서 많이 아쉽고 짜증 났구나. (아이의 감정 인정)"
  2. 치유의 말: "너도 숙제를 해야 한다는 걸 알 텐데, 지금 시작하기 싫은 이유가 뭘까? 엄마는 네 마음이 궁금해."
  3. 깨달음의 말: "엄마는 네가 숙제를 완벽하게 잘하고 싶어서 오히려 부담을 느낀 것은 아닌가 싶어. 잘 해내고 싶은 마음이 큰 아이라는 거 알아." (긍정적 의도 짚어주기)
  4. 강점의 말: "지난번에 어려운 수학 문제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끈기 있게 풀었을 때 정말 대단했어. 그 끈기가 지금 필요할 것 같아."
  5. 사고(질문)의 말: "숙제 때문에 힘든데, 네가 오늘 가장 먼저 해치울 수 있는 부분은 어디일까? 아니면 엄마가 무엇을 도와주면 좋을까?"

이처럼, "(1)감정 공감하기  > (2)배경 이해하기 > (3)긍정의도 인정하기 > (4)강점 격려 > (5)주도적 해결 요청하기"의 순서를 통해 아이는 자신이 존중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으며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힘을 키우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