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질문2 [회복적서클]열린 질문 일상의 갈등과 혼란의 상황, 혹은 도전적인 상황은 '해결책'이나 '대답찾기'에 집중하게 한다. 대답 찾기가 이러한 갈등과 폭력적 상황의 출구로 이해되었다. 빨리 벗어나야할 장애와 궁지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책임있는 부모, 교사, 동료라면 상대방의 그러한 상황에 대해 조언과 대답을 해 주는 것이 도리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우리는 혼란과 갈등, 비난과 다툼을 '문제(a problem')로 보고 있었고, 그에 상응하여 당연히 '대답(an answer)'이 필요하다는 전제가 항상 깔려 있었던 것이다. 그러가 자극상황을 '문제'로 보는 도식의 덫에 걸려서 혼란이나 논쟁에 직면하면 '옳은 대답'에 자신의 의식과 에너지가 맞추어지게 된다. 나의 선한 의도와는 다르게 대부분 분리와 상처, 이슈에 대한 논쟁과 거리두기.. 2025. 9. 29. 질문의 기술 중립적인 열린 질문으로 바꾸기 현장 책임자와의 인터뷰는 잘 진행되었나요? ⇒ 현장 책임자와의 인터뷰에서 무엇을 배웠나요? A보다는 B가 보다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인가요? 왜 이 정도밖에 못했나요? ⇒ 무엇을 더 보완해야 할까요? A가 다른 요인들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나요? ⇒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인은 무엇인가요? 이렇게 할 경우 결과가 좋을 것이라고 생각하나요? ⇒ 이렇게 할 경우 어떤 결과를 예상할 수 있을까요? 질문할 때 명심해야 할 바디랭귀지 원칙 팔짱을 끼지 않는다. 응답자를 향해 정면으로 바라본다. 다른 곳을 쳐다보지 않는다. 질문을 할 때와 끝맺을 때, 상대방과 눈을 맞춘다. 바로 서거나 등을 곧게 펴고 질문한다.. 2023. 11.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