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실리테이션&디자인씽킹
시스템사고(Systems Thinking)의 교육학적 적용
by iucenter
2025. 10. 13.
시스템사고(Systems Thinking)의 교육학적 적용
1. 개요
**시스템사고(Systems Thinking)**는 교육현상과 학습과정을 복잡한 상호작용 시스템으로 인식하는 사고 틀이다.
교육을 “교사 → 학습자 → 성취”의 단선적 과정으로 보지 않고,
교수자, 학습자, 환경, 제도, 문화가 **순환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학습 생태계(learning ecosystem)**로 이해한다.
교육은 ‘닫힌 수업’이 아니라 ‘열린 시스템’이다.
— 교육을 하나의 **적응적 복합계(Complex Adaptive System)**로 보는 관점이 시스템사고의 핵심이다.
2. 철학적 기초
철학적 배경교육적 함의
일반시스템이론 (von Bertalanffy) |
교육을 하나의 ‘열린 시스템’으로 간주. 학교·학급은 외부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유기체. |
사이버네틱스 (Wiener) |
피드백 기반의 교수-학습 과정 강조 (평가→조정→재설계). |
구성주의(Constructivism) |
학습은 지식의 ‘구조적 재구성’이며, 사회적 상호작용 시스템 속에서 이루어짐. |
복잡계 이론(Complexity Theory) |
학습과 발달은 예측 불가능한 비선형적 진화 과정. 학습자는 자기조직적 존재. |
3. 교육맥락에서의 시스템사고 개념화
교육적 맥락시스템사고적 해석
교수학습(Teaching-Learning) |
학습 성과는 교수자·학습자·내용·환경 간 피드백 구조의 결과로 발생. |
평가(Evaluation) |
평가를 ‘종착점’이 아닌 ‘피드백 시스템’으로 이해. 학습자 성장 데이터가 수업 구조에 환류. |
교육과정(Curriculum) |
선형적 설계(curriculum-as-plan)가 아닌, 학습자 참여로 진화하는 순환적 구조(curriculum-as-process). |
학교조직(School Organization) |
학교를 위계적 구조가 아닌 **학습하는 조직(learning organization)**으로 인식 (Senge, 1990). |
교육정책(Education Policy) |
정책효과를 단일 변수로 측정하지 않고,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상호작용 시스템으로 분석. |
4. 교육 시스템의 구조적 구성요소
시스템사고에 기반한 교육현상 분석 시, 다음의 구성요소 간 피드백 관계를 탐색한다.
구성요소역할
투입(Input) |
학습자 특성, 교사 역량, 교육자원, 정책 |
과정(Process) |
수업, 상호작용, 피드백, 평가 |
산출(Output) |
학습 성과, 만족도, 학교 효과성 |
환경(Environment) |
사회적·문화적·정책적 맥락 |
피드백(Feedback) |
결과가 다시 투입과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 |
5. 학습이론과의 연계
학습이론시스템사고적 시사점
사회적 구성주의 (Vygotsky) |
학습은 상호작용적 시스템 속에서 공동 구성되는 과정. ‘근접발달영역(ZPD)’은 피드백 고리의 대표적 사례. |
인지적 도제이론 (Collins et al.) |
전문가-초보자 간 순환적 피드백을 통한 역동적 시스템. |
자기조직적 학습(Self-organized Learning) |
학습자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스스로 구조를 형성하는 복잡계 시스템. |
메타인지 이론(Metacognition) |
학습자는 자신의 인지 시스템을 감시·조절하는 자기 피드백 루프를 형성. |
6. 교육공학적 적용
영역시스템사고적 접근
수업설계(Instructional Design) |
ADDIE 같은 선형 모형을 넘어, 피드백 기반 순환형 설계(Iterative Design) 강조. |
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 |
데이터 간 인과관계보다는 패턴과 상호작용 구조를 탐색. |
에듀테크(EduTech) |
학습 플랫폼을 단순 전달도구가 아닌 학습 생태계의 허브 시스템으로 설계. |
지식형성(Scardamalia & Bereiter) |
학습공동체 내의 아이디어 흐름을 시스템 단위로 관리하는 ‘지식생태계(knowledge ecology)’ 구축. |
7. 학교 및 조직 수준 적용
수준시스템사고 적용 예시
교실수준(Classroom System) |
학습동기 저하 → 교사 피로도 → 수업 질 저하 → 다시 동기 저하 (음의 피드백). → 교사 지원체계 강화로 구조적 변화 가능. |
학교수준(School System) |
교장 리더십, 교사 협력, 학부모 참여의 순환적 관계를 통해 조직학습 촉진. |
교육청·정책수준(Education Policy System) |
정책 변화가 현장에 미치는 간접적 효과(지연·누적)를 시뮬레이션하여 장기적 영향 예측. |
8. 대표적 모형 및 연구자
연구자핵심 기여
Peter Senge |
『The Fifth Discipline』에서 학교를 Learning Organization으로 개념화. 다섯 가지 규율 중 핵심이 시스템사고. |
Scardamalia & Bereiter |
Knowledge Building Theory — 학급을 지식생산 시스템으로 재구성. |
Fullan, M. |
Educational Change Theory — 학교개혁을 상호연결된 시스템 변화로 설명. |
Sterman, J. D. |
교육정책 시뮬레이션에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 적용. |
Meadows, D. |
교육 시스템의 ‘레버리지 포인트(Leverage Points)’ 개념 제시: 구조적 개입이 가장 큰 변화를 일으킴. |
9. 실천적 접근: 교육현장 적용 단계
- 문제 구조 인식
- 현상의 반복 패턴 식별 (예: 학업 격차, 교사 번아웃).
- 시스템 경계 설정
- 인과루프 다이어그램(CL Diagram) 작성
- 교사 피드백, 평가 정책,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등 관계 시각화.
- 피드백 구조 분석
- 레버리지 포인트 탐색
- 구조적 개선점(예: 교사 협업 시스템, 평가제도 개선).
- 실행–평가–학습 사이클
- 실행 결과를 다시 시스템 설계에 반영 → 순환적 학습조직 구축.
10. 교육학적 의의
구분설명
이론적 의의 |
교육현상을 복잡계로 분석함으로써 기존 선형적 교수·학습 이론의 한계 보완. |
방법론적 의의 |
질적 분석, 시뮬레이션, 참여적 모델링 등 다층적 연구 접근을 가능하게 함. |
실천적 의의 |
교사·학생·학교가 자기조직화와 피드백 학습을 통해 지속적 성장을 이룸. |
윤리적 의의 |
교육을 ‘관계적 존재들의 생태계’로 보며, 협력·공감·공동체 중심의 교육철학 강화. |
11. 주요 문헌 및 추천 읽기
- Senge, P. M. (1990). The Fifth Discipline: The Art and Practice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 Scardamalia, M., & Bereiter, C. (2006). Knowledge Building: Theory, Pedagogy, and Technology.
- Fullan, M. (2007).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 Meadows, D. H. (2008). Thinking in Systems: A Primer.
- Davis, B., & Sumara, D. (2006). Complexity and Education: Inquiries into Learning, Teaching, and Research.
- Jacobson, M. J., & Wilensky, U. (2006). Complex Systems in Education: Scientific and Educational Importance and Implications for the Learning Sciences.